
자폐스펙트럼과 GFCF
자폐스펙트럼의 원인과 치료법에 대해 조사하다보면 글루텐프리, 카제인프리 식단에 대한 이야기를 접하게 된다.
생의학적 치료를 시도하고 있다는 자폐 아동 부모의 유튜브를 통해 알게 된 GFCF 식이요법.
밀가루 속에 든 글루텐, 유제품 속에 든 카제인이 중추 신경계를 자극하거나 염증 반응을 일으켜 주의가 필요하다는 이야기를 처음 접했을 때 신빙성 없는 이야기라 생각했다. 하지만 여러 곳에서 같은 이야기를 접하게 되며, 조금씩 관심을 갖게 되었다.
글루텐과 카제인의 영향
글루텐이 제대로 분해되지 않은 채 혈관에 들어가면 조눌린이라는 단백질로 변해 독소를 발생시킨다고 한다. 이로 인해 염증이 생겨나면 장과 뇌 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
또한 장에서 유제품에 든 카제인을 제대로 분해시키지 못할 경우에도 발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한다.
불완전하게 소화된 펩타이드, 사이토카인이 중추신경계에 도달하면 뇌의 통증감수성을 감소시키고 자폐성 행동을 증가시킨다데...
의학적으로 얼마나 정확하게 밝혀진 것인지 모르나 GFCF로 효과를 봤다는 자폐 아동 부모들의 이야기를 쉽게 접할 수 있다.

심쿵이의 식단 조절
심쿵이는 철저하게 GFCF식단을 하고 있지는 않지만, 올해 초부터 밀가루, 유체품 섭취를 현저히 줄였다.
안 그래도 편식이 심하여 먹일 것이 없는 와중에 밀가루 섭취를 완전히 차단하는 건 현실적으로 어려워서 과자, 빵, 면류를 되도록 주지 않는 정도로만 제한하고 있다.
(제대로 하려면 빵가루나 튀김옷에 있는 밀가루라던가 된장, 고추장, 카레, 수프 등에 든 밀가루까지도 제한해야 하지만... 그럼 정말 먹일 것이 너무 없어져서 느슨하게 시도하고 있다.)
유제품이 경우도 마찬가지. 거의 매일같이 먹던 우유, 요거트, 스트링치즈는 주지 않고 있다.
대신 피자의 모짜렐라 치즈, 버터 정도는 종종 먹이는 중.
뿐만 아니라 당 섭취를 제한하고 있는데, 이건 자폐스펙트럼이 아닌 아이들에게도 적용될 부분이라 시도하길 잘했다고 생각한다.
당류가 많이 포함된 간식을 제한하고, 요리 시에는 프락토올리고당을 사용하며 설탕뿐만 아니라 꿀, 시럽 같은 것도 함께 제한하고 있다.

식단 조절 후 변화
식단을 조절한 이후 드라마틱한 발달상의 변화가 일어나지는 않았지만, 아이가 조금씩 성장하고 호전되는 부분은 있다.
이게 식단 덕분인지, 치료 수업 덕분인지, 아니면 아무것도 하지 않아도 이렇게 나아질 예정이었는지는 알 수 없지만...
아이 발달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 거라 생각하며 식단 조절을 유지해 나가보려 한다.

식단 조절 시 유의할 사항
자폐스펙트럼을 지닌 아이들은 예민한 감각으로 인해 섭식장애를 갖고 있는 경우가 많다.
안그래도 영양 섭취를 골고루 하기 어려운데 식단 조절까지 하다보면 아이들이 영양 불균형에 이르기 쉽다.
유제품을 차단하는 대신 대체 식품으로 관련 영양소를 보충하여 특정 영양소가 결핍되지 않도록 신경 써야 한다.
또한 GFCF가 자폐스펙트럼을 완화시켜 줄 수 있다고 주장하는 전문가가 많지만 아직 공식적으로 권장되는 검증받은 치료법이 아닌 이상, 잘 판단하여 적당하게 활용해 보는 것이 좋을 것 같다.
언젠가 식이요법과 관련한 명확한 근거와 가이드라인이 제시되어 자폐 아동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다.
'자폐스펙트럼 > 자폐스펙트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폐스펙트럼 증상 및 진단 시기 (0) | 2023.04.20 |
---|---|
장애 등록 혜택 및 시기, 장애 등록을 서두른 이유 (0) | 2023.04.06 |
자폐스펙트럼 호명 반응과 포인팅 (0) | 2023.03.30 |
ABA란 무엇일까? 자폐 치료에 효과적인 방법 (0) | 2023.03.22 |
자폐증 치료와 골든 타임 (0) | 2023.03.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