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폐스펙트럼/자폐스펙트럼

자폐스펙트럼 증상 및 진단 시기

by 심쿵로그 2023. 4. 20.
728x90
반응형



우리 아이도 혹시 자폐스펙트럼...?

 
언어 지연, 발달 지연, 사회성 부족...
 
특히 코로나바이러스로 인한 팬데믹을 겪은 우리 아이들에게는 여러 지연 현상과 문제가 쉽게 발견됩니다.
 
우리 아이가 혹시 자폐스펙트럼은 아닐까 하고 불안해하는 부모님이 많이 계실 텐데요.
 
자폐인이 백 명이면 백 명 모두 다른 증상을 가지고 있다는 말이 있을 만큼 자폐스펙트럼의 양상은 매우 다양하여 진단에도 어려움이 있는데요.
 
오늘은 자폐스펙트럼을 갖고 있는 아이들이 흔히 가지고 있는 몇 가지 증상들을 공유해 보고자 합니다.
 
 
 

자폐스펙트럼 아동에게서 흔히 보이는 모습들


1) 사회적, 정서적 상호작용의 결함
- 핑퐁 대화 어려움
- 감정 공유 어려움
 
2)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의 결함
- 눈 맞춤 어려움
- 표정이나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위를 이해하지 못하고 사용하지 못함
- 포인팅 및 공동 주시를 어려워함
 
흥미나 활동이 제한적이고 반복됨
- 반복적인 동작 관찰
- 동일한 것에 대한 고집, 집착 
- 특정 물건이나 흥미 거리에 대한 강한 집착
- 감각적 추구 (빛, 소리, 물건의 움직임 등)
 
대인관계 문제
- 상상 놀이 어려워함
- 또래에 대한 무관심
- 맥락에 맞는 행동을 하지 못함
 
감각자극에 대한 반응이 독특함
- 고통, 자극에 대해 과도하게 민감하거나 둔감함
 
기타
- 수면 장애, 변비 등 위장 장애, 편식 등
 
 

증상이 나타나는 시기

학자들은 주로 만 2세 반에서 3세 사이에 자폐적 증상이 나타난다고 이야기한다.
이른 경우 2세 이전에도 증상 발견할 수 있다고 하지만, 더 늦는 시기를 주장하는 이도 많다.
 

성별에 따른 발병 비율

자폐증은 남자 아이에게서 더 많이 발생한다. (여아 1: 남아 3~4 정도)
 
 
 


728x90
반응형

댓글